서울 아파트 평균 30억원 돌파

2025년 9월 2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30억원을 돌파했다. 9월 셋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0억 2,5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특히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는 평균 35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1년 전보다 15% 상승한 수치로,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은 더욱 멀어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 대치동이 평균 52억원으로 최고가를 기록했고, 서초구 반포동 48억원, 송파구 잠실동 45억원 순이었다. 강북 지역도 용산구가 평균 25억원을 돌파했고, 마포구와 성동구도 20억원을 넘어섰다. 전문가들은 저금리 기조와 풍부한 유동성, 공급 부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정부 긴급 대책과 시장 반응

정부는 급등하는 집값을 잡기 위해 긴급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 다주택자 양도소득세를 최대 75%로 인상하고, 종합부동산세 세율도 대폭 올리기로 했다. 또한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을 확대 지정하고, 전매제한 기간을 10년으로 연장했다. 주택담보대출 규제도 강화해 LTV(주택담보대출비율)를 30%로, DTI(총부채상환비율)를 40%로 하향 조정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공급 확대 없는 수요 억제책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서울의 신규 아파트 공급은 연간 3만 가구에 불과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재건축과 재개발 규제로 정비사업이 지연되면서 공급 부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과감한 공급 확대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청년층과 신혼부부들의 좌절감은 극에 달했다. 30대 직장인 김모씨는 부부 합산 연봉이 1억 5천만원이지만 서울에 집을 사는 것은 꿈도 꿀 수 없다며 지방 이주를 고민 중이라고 토로했다. 실제로 서울 아파트를 구입하려면 평균 15년치 연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난 심화와 깡통전세 우려

매매가 상승과 함께 전세난도 심화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는 18억원을 돌파했고,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60%까지 떨어졌다.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면서 전세 물건 자체가 씨가 마르고 있다. 역전세난이 본격화되면서 전세 난민이 속출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깡통전세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집값이 급등하면서 갭투자가 성행했지만, 금리 인상과 규제 강화로 매매가 얼어붙으면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은 서울 아파트의 15%가 깡통전세 위험에 노출됐다고 경고했다.

정부는 전세 대책으로 공공임대주택 10만 호를 긴급 공급하고, 전세대출 한도를 상향 조정하기로 했다. 또한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의무화하고, 임대차 3법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근본적인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는 한 전세난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