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의료 진단 시스템 전국 병원 도입, 진단 정확도 향상
보건복지부가 9월 22일 전국 종합병원과 대학병원에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진단 시스템을 전면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K-메디컬 AI로 명명된 이 시스템은 영상의학과, 병리과, 내과 등 주요 진료과에 우선 적용되며, 진단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시스템은 국내 의료 AI 기업들이 개발한 기술을 통합한 것으로, 엑스레이, CT, MRI 영상을 분석해 암, 심혈관 질환, 폐 질환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특히 폐암의 경우 기존 육안 판독 대비 조기 발견율이 32% 향상되었으며, 유방암은 28%, 대장암은 25%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에서 진행된 6개월간의 시범 운영 결과, AI 시스템을 활용한 진단의 정확도는 평균 96.3%를 기록했다. 이는 전문의 단독 진단 시 92.1%보다 4.2%p 높은 수치다. 또한 진단에 소요되는 시간도 평균 15분에서 8분으로 단축되어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도 크게 개선되었다.
의료진 보조 도구로 활용, 최종 결정은 의사가
정부는 AI 시스템이 의사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조 도구로 활용될 것임을 강조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AI는 의사의 진단을 돕는 도구일 뿐이며, 최종 진단과 치료 결정은 반드시 의료진이 내린다”며 “AI와 의료진의 협업을 통해 더 정확하고 신속한 진료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의료계에서는 대체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대한의사협회는 “AI 도입으로 의료 질이 향상되고 의료진의 피로도가 감소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다만 일부에서는 AI 오진에 대한 책임 소재,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AI 의료 윤리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의료 AI 인증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환자 정보는 완전히 익명화된 상태로만 AI 학습에 활용되며, 별도의 보안 시스템을 통해 철저히 관리될 예정이다.
향후 계획으로는 2026년까지 전국 모든 병원급 의료기관에 AI 시스템을 보급하고, 원격진료와 연계해 의료 사각지대 해소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향후 3년간 총 3,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으며, 의료 AI 전문 인력 5,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