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팝 데몬 헌터스 골든, 빌보드 핫100 5주 연속 1위 신기록 달성

케이팝 데몬 헌터스 ‘골든’, 빌보드 핫100 5주 연속 1위 신기록 달성

넷플릭스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KPop Demon Hunters)’의 대표곡 ‘골든(Golden)’이 애니메이션 OST 역사상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2025년 9월 16일 빌보드 측이 공식 발표한 바에 따르면, ‘골든’은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5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애니메이션 캐릭터가 부른 오리지널 트랙 중 차트 역대 최장 기록을 수립했다.

이번 성과는 단순히 애니메이션 OST의 범주를 넘어선 K-팝 역사에서도 의미가 깊다. K-팝 전체 시장을 통틀어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5주 이상 1위를 기록한 아티스트는 헌트릭스(Huntrix,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걸그룹)와 방탄소년단(BTS)이 유일하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더욱 부각된다.

빌보드 싱글·앨범 차트 동시 정상 석권

‘골든’의 성공은 싱글 차트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골든’이 수록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앨범은 빌보드 메인 앨범차트 ‘빌보드200’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싱글과 앨범 차트를 동시에 석권하는 기염을 토했다. K-POP 장르에서 한 앨범과 수록곡이 싱글차트와 앨범차트에서 동시에 1위를 하는 것은 지난 2020년 12월 BTS의 앨범 ‘BE’와 타이틀곡 ‘Life Goes On’ 이후 5년 만의 일이다.

특히 ‘골든’이 빌보드 핫100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케이팝 걸그룹 노래로서는 최초의 Hot 100 1위 곡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 걸그룹이 빌보드 1위를 한 것 자체가 비욘세가 활동했던 걸그룹 데스티니스 차일드 이후로 24년 만에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파급력을 가늠할 수 있다.

글로벌 차트 전 영역 석권

헌트릭스의 ‘골든’은 미국을 넘어 전 세계 차트를 휩쓸고 있다. 2025년 9월 6일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도 통산 5주째 1위를 기록하며 영미 주요 차트에서의 독주 체제를 구축했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인 Spotify와 Apple Music 글로벌 차트에서도 정상을 차지하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히트곡임을 입증했다.

영국 오피셜 차트에서는 ‘골든’이 7주 연속 1위라는 대기록을 세웠으며, ‘Soda Pop’이 3위, ‘Your Idol’이 5위를 차지하며 케이팝 역사상 최초로 3곡이 동시에 TOP 5에 이름을 올리는 신기록도 수립했다. 이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음악적 완성도와 대중적 어필이 얼마나 뛰어난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국내에서도 열풍은 지속되고 있다. 2025년 9월 14일 0시 38분 아이차트에서 퍼펙트 올킬 1,200회를 달성하며 국내 음원 차트에서도 압도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문화 콘텐츠로서의 파급 효과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성공은 음악 차트를 넘어 문화 산업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5년 8월 20일 농심이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공식 콜라보 제품 출시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다양한 브랜드들이 협업에 나서고 있다. 신라면 시리즈와 새우깡 시리즈를 대상으로 한 이번 콜라보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식품 브랜드 간 콜라보레이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음원 시장에서도 확장판 앨범 발매로 지속적인 관심을 이어가고 있다. 2025년 9월 4일 발매된 ‘K-Pop Demon Hunters (Soundtrack from the Netflix Film / Deluxe Version)’에는 기존 사운드트랙 외에도 MR(Sing-Along) 버전, 기악(Instrumental) 버전, 아카펠라 버전이 추가되어 팬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2025년 6월 20일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로,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이 제작하고 넷플릭스가 배급했다. 뮤지컬, 판타지, 코미디 장르를 결합한 이 작품은 공개 직후부터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K-팝과 애니메이션의 크로스오버 콘텐츠가 가진 무한한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연이은 성공이 향후 K-팝과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 간 협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를 통해 언어와 문화의 장벽을 뛰어넘어 전 세계 대중에게 어필한 점은 K-콘텐츠의 글로벌 진출 전략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던진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