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감염병 대응 체계 강화, 질병청 비상대응팀 신설
질병관리청이 9월 22일 신종 감염병의 조기 탐지와 신속한 대응을 위한 글로벌 감염병 비상대응팀을 신설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최근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신종 바이러스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국내 감염병 방어 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새로 구성되는 비상대응팀은 감염병 전문가 50명, 역학조사관 30명, 데이터 분석 전문가 20명 등 총 100명 규모로 운영된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 감염병 예측 시스템을 도입해 전 세계 감염병 발생 동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국내 유입 가능성을 24시간 체제로 분석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신종 감염병에 대한 선제적 대응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됐다”며 “이번 비상대응팀 신설을 통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는 방역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내년도 예산에 500억원을 편성했으며, 향후 5년간 총 2,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국제 공조 강화와 백신 개발 체계 구축
질병관리청은 세계보건기구(WHO)를 비롯한 국제기구와의 공조 체계도 대폭 강화한다. 이미 미국 CDC, 일본 감염증연구소 등과 감염병 정보 공유 협정을 체결했으며, 동남아시아 5개국과는 조기경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통해 신종 감염병 발생 시 최대 2주 빠른 정보 파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국내 백신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K-백신 개발 프로젝트도 본격화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 등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mRNA 백신 플랫폼을 구축하고, 신종 감염병 발생 시 100일 내 백신 개발이 가능한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민간 기업에 1,000억원 규모의 연구개발(R&D) 자금을 지원한다.
감염병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지속적인 투자와 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선제적 대응 체계 구축은 매우 시의적절한 조치”라면서도 “감염병 전문 인력 양성과 지역 의료기관과의 협력 체계 구축이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국민들의 감염병 예방 의식 향상을 위한 대국민 캠페인도 전개할 예정이다.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기본적인 개인 위생 수칙부터 해외여행 시 감염병 예방 수칙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모바일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감염병 위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10월부터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