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학교폭력 예방 시스템 도입, 실시간 감지로 학생 안전 강화
2025년 9월 24일, 교육부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 인공지능(AI) 기반 학교폭력 예방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스템은 CCTV 영상 분석, 음성 패턴 인식, SNS 모니터링 등을 통해 학교폭력을 사전에 감지하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2025년 하반기 100개 시범학교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전국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AI 시스템의 핵심 기능은 실시간 위험 상황 감지다. 학교 내 설치된 CCTV에 AI 영상 분석 기술을 적용해 폭력적인 행동 패턴을 자동으로 인식한다. 때리기, 밀치기, 집단 괴롭힘 등의 물리적 폭력뿐만 아니라, 특정 학생을 고립시키는 따돌림 패턴까지 감지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이 포착되면 즉시 교무실과 상담실에 알림이 전송되어 교사들이 신속하게 개입할 수 있도록 했다.
음성 인식 기술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도와 교실에 설치된 음성 센서가 욕설, 협박, 비명 등 폭력적인 음성 패턴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녹음이 시작되고 관련 교사에게 알림이 간다. 이는 화장실이나 사각지대에서 발생하는 은밀한 괴롭힘을 포착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일상 대화는 저장되지 않으며, 위험 신호가 감지될 때만 최소한의 정보가 기록된다.
SNS 사이버 불링 감지와 심리 상담 연계
사이버 불링 대응도 AI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다. 학생들의 동의하에 SNS 활동을 모니터링하여 사이버 괴롭힘, 악성 댓글, 루머 유포 등을 감지한다. 특히 자살이나 자해를 암시하는 키워드가 발견되면 즉시 전문 상담사와 연결되는 긴급 대응 체계가 작동한다. 교육부는 이를 통해 청소년 자살률을 30%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I는 피해 학생의 심리 상태 변화도 추적한다. 출결 패턴, 성적 변화, 보건실 방문 빈도, 급식 참여율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학교폭력 피해 가능성을 예측한다. 위험 신호가 감지되면 담임교사와 상담교사에게 자동으로 알림이 가고, 필요시 외부 전문 기관과 연계한 심리 치료를 지원한다.
프라이버시 보호 대책도 철저히 마련됐다. 모든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저장되며, 학교폭력과 무관한 일반 데이터는 72시간 후 자동 삭제된다. AI가 수집한 정보는 오직 학교폭력 예방과 대응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학부모 동의 없이는 제3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AI의 판단은 최종 결정이 아닌 참고 자료로만 활용되며, 모든 조치는 교사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이뤄진다.
이 시스템 도입에는 연간 약 2,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AI 기술을 활용해 학교폭력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함으로써 모든 학생이 안전한 환경에서 학습할 권리를 보장하겠다”며 “기술과 인간의 협력을 통해 학교폭력 제로를 목표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교육 전문가들은 이번 시스템이 학교폭력 대응의 패러다임을 사후 처벌에서 사전 예방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