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센터 화재로 정부24 등 주요 행정서비스 중단 사태

정부 전산센터 화재로 정부24 등 주요 행정서비스 중단 사태

정부 전산센터 화재로 정부24 등 주요 행정서비스 중단 사태

2025년 9월 24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NIRS) 전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24를 비롯한 주요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9월 27일 현재까지 일부 서비스는 여전히 복구 중이며, 정부는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번 사고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사고 경위와 피해 현황

화재는 24일 오전 10시 35분경 대전 유성구 소재 NIRS 제2센터 무정전전원장치(UPS) 실에서 시작됐다. 리튬이온 배터리 팩에서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스프링클러가 자동으로 작동했으나 초기 진화에 실패하면서 화재가 확산됐다. 소방당국은 오후 2시 30분경에야 진화에 성공했지만, 이미 UPS 시스템과 주요 서버 장비 일부가 큰 피해를 입은 상태였다.

이 사고로 정부24, 국세청 홈택스, 국민건강보험공단, 고용노동부 등 총 237개 정부 기관의 온라인 서비스가 4시간 이상 중단됐다. 민원서류 발급, 국세 신고, 건강보험 조회 등 수백만 국민이 이용하는 서비스가 마비되면서 큰 혼란이 빚어졌다. 특히 기업들의 부가가치세 신고 마감일과 겹치면서 세무 대리인들과 기업 회계 담당자들이 비상이 걸렸다. 국세청은 긴급하게 신고 기한을 이틀 연장하는 조치를 취했다.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위협

전문가들은 이번 사고가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안전 과제를 부각시켰다고 지적한다. 최근 데이터센터들은 전력 효율성과 공간 절약을 위해 기존 납축전지 대신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 UPS를 도입하는 추세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지만, 열폭주(thermal runaway) 위험이 있다. 과충전이나 물리적 손상, 제조 결함 등으로 배터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연쇄 반응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NIRS 관계자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온도 모니터링 장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열폭주 속도가 너무 빨라 초기 대응이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리튬이온 배터리 UPS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는 더욱 강화된 안전 기준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배터리 셀 간격 확대, 불연성 케이스 사용, 자동 화재 진압 시스템 고도화, 실시간 열화상 모니터링 등이 대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재발방지 대책과 시사점

행정안전부는 27일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전국 주요 정부 데이터센터에 대한 전면 안전 점검을 지시했다.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UPS를 사용하는 시설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안전성 평가를 실시하고, 필요시 납축전지로 교체하거나 추가 안전장비를 설치하도록 했다. 또한 NIRS의 백업 센터 체계도 재검토하기로 했다. 현재는 대전과 광주 두 곳에 센터가 있지만, 이번 사고에서 백업 전환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가 드러났다.

이번 사고는 디지털 시대 정부 서비스의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전문가들은 “중앙집중식 데이터센터의 단일 실패 지점(Single Point of Failure)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지리적으로 분산된 다중 백업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전환을 가속화하고, 재난 복구 계획(DRP)을 정기적으로 훈련하며, 민간 협력을 통한 비상 대응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국가 IT 인프라의 안전성과 복원력을 전면 재점검할 계획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