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한파 대비 특보 시스템 강화
행정안전부가 15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5년 겨울철 한파 대비를 위해 기상특보 시스템을 대폭 강화하고 조기 대응 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겪은 극심한 한파 피해를 교훈삼아 예보 정확도 향상과 신속한 대응 체계 마련에 중점을 두고 있다.
기상청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한파 예측 모델을 도입하여 기존 대비 예보 정확도를 15% 이상 높일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시스템은 과거 30년간의 기상 데이터와 실시간 관측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한파의 강도와 지속 기간을 더욱 정밀하게 예측한다.
또한 지자체와 연계한 실시간 대응 체계도 구축했다. 한파특보 발령 시 취약계층 보호시설 점검, 상수도 동파 방지 조치, 교통시설 안전 관리 등이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시스템을 정비했다.
특히 독거노인, 노숙인, 쪽방촌 거주자 등 한파 취약계층에 대한 보호 대책을 크게 강화했다. 전국 17개 시도에 한파쉼터 400여 곳을 추가 확보했으며, 24시간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청년 주거 안정책 확대
한편 국토교통부는 청년층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종합적인 주거 안정책을 발표했다. 청년 대상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기존 연간 2만호에서 3만호로 50% 확대하고, 임대료 부담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새로 도입되는 청년 주거급여는 기존 주거급여와 별도로 만 19세~34세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원까지 지원하는 제도다.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 60% 이하로 설정했으며, 2026년부터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또한 청년 전용 매입임대주택 프로그램을 새롭게 도입한다. 기존 다세대주택을 매입해 리모델링한 후 시세의 60% 수준으로 청년들에게 임대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선호하는 도심 지역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단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통해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