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립 문제 심각, 정부 청년정책 종합대책 발표

청년 고립 문제 심각, 정부 청년정책 종합대책 발표

한국 사회의 청년 고립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달했다는 조사 결과가 2025년 9월 20일 발표됐다. 보건복지부와 청년위원회가 공동으로 실시한 ‘청년 사회적 고립 실태조사’에 따르면, 20-34세 청년의 23.7%가 사회적 고립 상태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되면서 대면 접촉 기회가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조사에 참여한 청년들 중 47.2%가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를 맺기 어렵다”고 응답했으며, 35.8%는 “혼자 있는 시간이 하루 20시간 이상”이라고 답했다.

청년 정신건강 위기, 우울증 환자 3배 증가

청년 고립 문제와 함께 정신건강 위기도 심화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29세 우울증 환자가 2020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대학 재학생과 취업준비생의 정신건강 상태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청년 정신건강 지원 예산을 기존 120억원에서 350억원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전국 시·군·구에 청년 전담 상담사를 배치하고, 24시간 청년 위기상담 핫라인을 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디지털 교육격차 해소 방안 발표

교육부는 코로나19 이후 확산된 디지털 교육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저소득층 학생과 농어촌 지역 학생들의 학습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에 따른 조치다.

주요 대책으로는 전국 모든 학교에 고속 인터넷망 구축, 저소득층 학생 대상 태블릿 PC 무상 지원,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강화 등이 포함됐다. 또한 AI 기반 개인 맞춤형 학습 시스템을 도입해 학생 개별 수준에 맞는 교육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사회안전망 강화, 재해 대응체계 개편

정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증가에 대비해 재해 대응체계를 전면 개편한다고 발표했다. 행정안전부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스마트 재해예측 시스템’을 구축해 재해 발생 72시간 전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전국 대피소 시설을 현대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대피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고령자, 장애인, 외국인 등을 위한 다국어 재해 정보 서비스와 이동 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이재명 정부는 청년의 날(9월 20일)을 맞아 청년 고용 확대와 주거 지원, 창업 지원 등을 포함한 ‘청년 희망정책 패키지’를 발표했다. 이 정책에는 청년 월세 지원 확대, 청년 창업 무이자 대출,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 인센티브 등이 포함되어 있어 청년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