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2025년을 기점으로 전국 교육기관의 안전교육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며, 형식적 교육에서 벗어나 실질적 안전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9월 발표한 “2025년 안전보건교육 안내서”에 따르면, 6월 시행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통해 교육 내용과 방식이 획기적으로 변화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기존의 일회성 이론 교육에서 벗어나 체험형 실습 중심 교육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특히 어린이 이용시설 종사자에게는 연간 4시간의 필수 안전교육이 의무화되어, 응급처치부터 화재 대응까지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 능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맞춘다. 전국 초중고교, 유치원, 어린이집 등 약 3만여 개 기관의 종사자 50만 명이 이 새로운 교육 체계의 적용을 받게 된다.
국민안전교육플랫폼 구축으로 맞춤형 교육 강화
정부는 국민안전교육플랫폼(kasem.safekorea.go.kr)을 통해 생애주기별, 안전분야별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 플랫폼은 유아부터 성인까지 각 연령대에 적합한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교통안전, 화재안전, 자연재해 대응 등 세분화된 주제별 교육을 실시한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대한안전교육협회는 공동으로 안전교육 전문인력 양성에도 나섰다. 기존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VR(가상현실)과 AR(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체험형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여, 실제와 같은 위험 상황을 안전하게 체험하며 대응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화재 대피 훈련과 응급처치 실습에서는 90% 이상의 교육 효과 향상을 보이고 있다.
예방 중심의 안전문화 정착이 목표
이번 안전교육 체계 개편의 배경에는 최근 몇 년간 계속된 학교 안전사고 증가 추세가 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24년 학교 안전사고는 전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이 중 상당수가 적절한 안전교육을 받았다면 예방 가능한 사고들이었다. 특히 실험실 사고, 체육 활동 중 부상, 급식 관련 사고 등이 주요 유형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교육 시스템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안전의식의 내재화를 목표로 한다. 교육대상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위험요소를 스스로 인식하고 예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 실습 중심 프로그램의 비중을 70% 이상으로 높였다.
정부 관계자는 “기존의 형식적 안전교육으로는 실제 위험상황에서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웠다”며 “이번 개편을 통해 모든 국민이 안전에 대한 실질적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교육 효과 측정을 위한 정기적인 평가 시스템도 도입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과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했다.
한편, 이번 안전교육 체계 개편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우선 수도권 주요 교육기관부터 적용을 시작하여, 2026년까지 전국 모든 교육기관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25년 안전교육 예산을 전년 대비 40% 증액하여 1,200억 원을 편성했다. 이는 안전교육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정부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조치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