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5% 관세폭탄 3주 유예, 한국 정부 긴급 대응 나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25% 상호관세 부과를 통보하면서 한국 정부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 당초 7월 9일로 예정됐던 관세 부과 시한이 8월 1일로 연장되면서 한국은 약 3주간의 협상 시간을 확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 한국을 포함해 일본 등 최소 14개국에 관세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관세·비관세 무역정책으로 미국이 그간 적자를 봐왔다며 25%는 낮은 숫자라고 주장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을 콕 집어 언급하며 협상 압박을 가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관세협상에서 최악은 피했다고 평가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번 관세 조치가 한국 주요 수출품목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다. 반도체, 자동차, 석유화학 등 핵심 산업에 대한 타격이 예상되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LG 등 주요 기업들의 어닝쇼크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8월 1일 관세 부과 기한도 100퍼센트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언급한 점은 협상 여지를 남긴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협상 상대국들이 전화해서 다른 방식으로 말한다면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미국 뉴욕증시는 관세 유예 연장 소식에 매도세가 일단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이번 관세 조치가 당초 우려보다는 강도가 낮을 수 있다는 시각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앞으로 3주간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특히 양국 간 무역 불균형 해소 방안과 함께 한국의 대미 투자 확대 등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는 미중 무역전쟁 이후 또 다른 보호무역주의 확산 신호로 해석되고 있어, 한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급효과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