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42년 만에 세계 D램 시장 정상에 오른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가 2025년 1분기 D램 시장에서 점유율 36%를 기록하며 삼성전자(34%)를 제치고 세계 1위에 올랐다. 1992년 이후 33년간 삼성전자가 지켜온 1위 자리를 빼앗은 역사적 순간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집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2%포인트 차이로 삼성전자를 앞섰다.
HBM 기술력이 만든 기적
SK하이닉스의 이번 성과는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의 압도적 기술력이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HBM3E 12단 등 첨단 HBM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AI 반도체 붐을 주도했다.
인공지능 시대의 핵심 부품인 HBM은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AI 칩 제조사들의 필수 부품으로 자리잡았다. SK하이닉스는 이 시장에서 선제적으로 기술 개발에 집중해 경쟁사들과 압도적 격차를 벌렸다.
42년 헝그리 정신의 결실
30년 넘게 2등 자리에 머물렀던 SK하이닉스의 ‘헝그리 정신’이 마침내 결실을 맺었다. 1등이 되기 위해 1등이 하지 않는 분야에도 묵묵히 투자한 끈기가 HBM이라는 기회를 통해 꽃을 피웠다.
SK하이닉스 임직원들은 이번 성과에 어느 때보다 고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삼성전자 대신 경기 이천의 SK하이닉스를 먼저 찾을 정도로 회사의 위상이 크게 올라갔다.
삼성전자의 고전과 대조
반면 삼성전자는 HBM 시장에서 2등이 되자 갈피를 못 잡고 있는 상황이다. 1등만 하던 삼성전자가 SK하이닉스가 짜놓은 판에서 빠르게 추격해야 하는 낯선 상황에 직면했다.
HBM 추격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인력을 투입했지만 큰 성과가 나오지 않으면서 다른 D램, 낸드플래시 제품까지 영향을 받고 있다는 분석이다.
AI 시대 메모리 패러다임 변화
이번 순위 변화는 단순한 기업간 경쟁을 넘어 AI 시대 메모리 반도체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준다. 전통적인 D램에서 AI 전용 메모리로 시장의 중심축이 이동하면서 기술력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센트릭’을 비전으로 제시하며 메모리 반도체가 ICT 기기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40년간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AI 메모리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SK하이닉스는 지난 4월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기지 건설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AI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차세대 HBM 등 AI 메모리를 집중 생산할 계획이다.
같은 달 대만 TSMC와도 기술 협약을 맺어 고객-파운드리-메모리 간 3자 협업 체계를 구축했다. 이는 AI 생태계 전반에서 SK하이닉스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하반기 성장세 지속 전망
업계는 하반기에도 AI 인프라 구축이 지속되면서 HBM 시장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주력 제품인 GB300 생산 증가와 HBM을 채택한 AMD, 브로드컴 등 비엔비디아 진영의 주문형반도체 생산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향 공급망에 이어 ASIC 고객사도 확보한 만큼 관련 매출이 지속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다. 마이크론과 삼성전자의 시장 진입 확대가 변수로 작용하지만, 선제적으로 경쟁력을 다진 SK하이닉스의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SK하이닉스의 1위 달성은 한국 반도체 산업에도 새로운 전환점을 의미한다. 삼성전자 일극 체제에서 양강 구도로 변화하면서 건전한 경쟁을 통한 기술 발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AI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이 입증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위상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미중 반도체 갈등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의 전략적 가치가 더욱 부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