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서울 아파트 가격 반등 신호… “하반기 상승 압력 가시화”

서울 아파트 가격 반등 신호... \"하반기 상승 압력 가시화\"

2025년 8월 들어 서울 아파트 시장에 반등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전문가들이 예측한 '상저하고(上低下高·상반기 약세 하반기 강세)' 패턴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으로, 공급 부족 우려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매매 시장에 활기가 돌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부동산 전망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 가격은 연간 약 1.0%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지속된 시장 침체에서 벗어나 점진적 회복세로 전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한 선호 지역에서는 매수 심리가 크게 개선되고 있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7월 말부터 8월 초까지 강남권 대단지 아파트의 문의량이 급증했으며, 실제 거래도 늘어나는 추세다.

공급 부족 현실화... 2025년 하반기 '공급절벽' 우려

아파트 가격 상승 압력의 주요 원인은 공급 부족 현상이다. 2024년 9월까지의 누적 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전년 대비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34% 줄어들었다. 착공과 준공 사이의 시차를 고려할 때, 올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인 '공급절벽'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2022-2023년 침체기에 신규 사업 추진이 급격히 줄어든 영향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수도권의 경우 공급 부족으로 인한 가격 상승 압력이 더욱 뚜렷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서울시내 주요 분양 예정 단지들의 일정이 연기되거나 축소되면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업계는 \"현재의 공급 부족 상황이 지속되면 2025년 말까지 서울 아파트 가격이 5-10% 상승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정치적 불확실성의 줄다리기

부동산 시장 회복의 또 다른 동력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하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추가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주택 구매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춰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글로벌 금리 인하 추세와 국내 경기 회복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연내 추가 기준금리 인하 여지가 있다\"며 \"이는 부동산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대통령 탄핵 정국과 정치권의 부동산 정책 논란 등이 시장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어, 회복세의 지속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집값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는 상황에서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시장 예측이 어려워졌다\"며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한편, 지역별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수도권과 지방, 강남권과 비강남권, 대단지와 소단지 간의 가격 격차가 확대되면서 '부동산 투 트랙'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별 지역과 단지의 특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하는 시기\"라고 조언했다.

KB부동산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시장은 8월 중순부터 거래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3.3㎡당 3천만원 이상의 고가 아파트에서 회복세가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이는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한 매수 심리 개선이 시장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